내가 푼 건아니고 어디서 주운건데 네이버 블로그였나..
être는'~이다'라는 뜻의 동사로 영어의 be동사과 같다. (1) être 동사의 현재 변화 모습이다. je suis 나는 ~이다 tu es 너는 ~이다 il est 그는 ~이다 elle est 그녀는 ~이다 nous sommes 우리는 ~이다 vous êtes 당신은 ~이다 ils sont 그들은 ~이다 elles sont 그녀들은 ~이다 (2) être 동사 다음에는 명사나 형용사가 올 수 있다. 관사를 포함한 명사가 오는 경우 Je suis un homme. 나는 남자다. 형용사가 오는 경우 Je suis grand. 나는 크다. 직업이나 국적을 말할경우 être동사 뒤에 관사 없이 명사가 온다. Je suis Coréen. 나는 한국사람이다. (3)주어에 맞게 성을 일치 시켜야 한다. (남성) ..
주어에는 사람,지역,사물,주어 인칭대명사가 올 수 있다. 사람이나 도시 앞에는 관사가 붙지 않는다. 도시 Paris - 사물 un livre 주어 인칭대명사 je 나는 tu 너는 il 그는, 그것은 (남성) elle 그녀는, 그것은 (여성) nous 우리는 vous 당신은(존칭), 당신들은, 너희들은 ils 그들은, 그것들은 (남성) elles 그녀들은, 그것들은 (여성) 프랑스어에는 존댓말이 있다. tu의 존댓말은 vous이고 vous는 여러명을 지칭할때도 쓰인다. 또 사물의 성이 남성과 여성으로 나뉘어 있기 때문에 il이나 elle은 사람의 성만이 아니라 사물의 성을 나타낼때도 쓰일 수 있다. 3인칭 단수에 속하는 ce와 on이 있는데 ce는 '이것'의 의미를 가진다. on은 3인칭 단수이지만 nou..
정관사는 누군지 아는 사람이나 소유를 아는 사물에 쓰인다. 남성 단수 : le 여성 단수 : la 남성,여성 복수 : les (1) 영어의 The와 같은 역할이다. l'homme 그 남자 le livre 그 책 (2) le, la의 경우에는 뒤에 모음이나 무음 h(아쉬)가 오면 모음축약을 하여 l'로 표기한다. le homme->l'homme (3) 복수형을 만들때는 les를 쓰고 명사의 복수형을 쓴다. les hommes 그 남자들 (4) les 뒤에 모음이나 무음 h(아쉬)가 올때는 [z]발음으로 연음한다. les hommes 그 남자들
프랑스어의 모든 명사 앞에는 관사가 필수로 들어간다. (1) 관사에는 정관사, 부정관사가 있는데 이중 부정관사는 세가지가 있다. 남성 단수 : un 여성 단수 : une 남,여 복수 : des (2) 부정관사는 정해지지 않은 그러니까 누구인지 모르거나 소유를 알 수 없는 사물에 쓰인다. un maison 한채의 집 un livre 한권의 책 (3) un 다음에 모음이나 무음 h(아쉬)가 올때는 리에종[liaison]을 해야한다. un homme 한 명의 남자 (4) 복수의 경우는 des를 쓰고 명사는 복수형으로 쓴다. des livres 책들 (5) des 뒤에 모음 or 무음 h(아쉬)가 올때는 [z]발음으로 연음한다. des hommes 남자들
프랑스어의 모든 명사에는 남성,여성형이 있다. 구별 방법에는 몇 가지가 있는데 (1) e로 끝나는 명사는 대부분 여성 명사이고 이외에는 대부분 남성 명사다. (2) 하지만 예외도 있으니 이것은 따로 외워야만 한다. (3) tion이나 sion으로 끝나는 명사는 여성 명사에 속한다. (4) 문법적인 성이 아니고 명사 자체가 가진 성으로도 구별할 수 있다. homme 남자, femme 여자 등 (5) 남성 명사를 통해 만들수 있는 여성 명사가 있다. 보통은 단어 끝에 e를 붙이면 되지만 예외적인 형태도 있다. ami - amie 친구 Coreen - Coreenne 한국 사람
감쇄 조화 진동자의 진동수 ν는 1/2πr*√k/m이다. 탄성력 F(x)는 -kx이며 이것은 후크의 법칙 Hooke’s law이다. 여기서 -는 역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의 방향을 뜻한다. 이제 감쇠효과를 적용시키면 F(x)= -kx-cv (v는 저항 -공기,물- 에 의한 감쇄) 이제 힘 F=ma = md^2/dt^2 = -kx-cv = -kx-cdx/dt 가된다 그럼 우변을 모두 좌변으로 옮기면 md^2x/dt^2 + cdx/dt + kx = 0 이 된다. 이것을 m으로 양변을 나눠주면 d^2x/dt^2 + c`dx/dt + w^2x = 0 즉 상수계수의 2계 선미방이 된다. [w=√k/m , c`=c/m] 여기서 c/m이 2wζ라면 c/m=2wζ 이면 ζ=c/2wm 이다 d^2x/dt^2 + 2wζdx/..
- Total
- Today
- Yesterday
- 2000탈삼진
- 선동열
- 태연
- 만원짜리 탕수육
- WBC
- 소녀시대 티저
- 빅히트
- 박찬호 158km
- 2000k
- 뜨거운 감자 4집
- 송지만
- 박찬호
- 탱구
- 아이폰
- 김태균 별명
- 카카오게임즈
- 소시왕카드
- 박찬호 98마일
- 2000
- 김별명
- 송회장
- 문명5
- 김태균
- 김똑딱
- 김태연
- 김형준 칼럼
- 태연 사진
- 송진우
- 기록속으로
- 2000삼진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